반응형
2025년 서울 민생회복 소비쿠폰(민생지원금)에 대한 신청 방법과 기간을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
이글만 따로오세요 누구나 쉽게 바로 신청할수 있어요
사용법 사용처 사용기한 까지 모두 여기 한방에 정리했습니다.
기본 개요
-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1인당 최소 15만 원을 우선 지급하고,
- 소득 하위 90%에 대해서는 2차로 10만 원 추가 지급, 최대 5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서울시 지원 제도입니다.
- 차상위·한부모 가족은 1차 30만 원, 기초생활수급자는 40만 원 지급됩니다
🗓️ 신청 기간 안내
단계신청 기간지급 형태
1차 | 2025년 7월 21일 (월) 오전 9시 ~ 9월 12일 (금) 오후 6시 | 모두 대상 (1인당 15만 원 기본, 차상위 30만 원, 기초 40만 원) |
2차 | 2025년 9월 22일 (월) ~ 10월 31일 (금) | 소득 하위 90% 대상 (추가 10만 원) |
- 1차 신청 첫 주(7.21~7.25)에는 출생년도 끝자리 기준 요일제가 적용됩니다 (온라인 신청에만 해당):
- 월요일: 끝자리 1·6
- 화요일: 2·7
- 수요일: 3·8
- 목요일: 4·9
- 금요일: 5·0
- 토·일: 모두 가능
(오프라인은 주말 신청 불가)
🖥️ 온라인 신청 방법
- 서울페이+ 앱의 서울사랑상품권 기능, 카드사 공식 앱·홈페이지, 국민비서 서비스(네이버앱, 카카오톡, 토스 등)를 통해 24시간 신청 가능합니다 (기간 내).
- 신청 후 다음 날, 선택한 방식으로 자동 충전됩니다
🏢 오프라인 신청 방법
- 주민센터 방문 → 선불카드 및 지역사랑상품권(지류형/카드형 일부) 신청
- 제휴 은행 지점 →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 창구에서 신용·체크카드 방식 신청 (단, 16:00 마감)
-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·장애인은 자치구에 신청하면 **‘찾아가는 신청 서비스’**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(동별 운영 방식 상이하므로 사전 문의 권장)
💰 지원 금액 구성
- 1차 지급 (전 국민 대상)
- 일반 국민: 15만 원
- 차상위 및 한부모 가족: 30만 원
- 기초수급자: 40만 원
- 2차 지급 (소득 하위 90% 대상)
- 추가 10만 원
- 최대 지급액
- 일반 국민: 총 25만 원
- 차상위·한부모: 40만 원
- 기초생활수급자: 50만 원
※ 수도권 외 지역 및 농어촌인구감소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추가로 3만~5만 원 더 받을 수 있으나, 서울 시민은 대상 제외입니다
🛒 사용 조건 및 기한
- 사용 기간: 지급일로부터 **2025년 11월 30일(일)**까지
- 사용처:
- 지역 내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가맹점 (전통시장, 동네마트, 음식점, 카페, 미용실, 학원 등)
- 불가 업종: 대형마트, 백화점, 온라인몰, 배달앱, 유흥시설, 보험료·세금 납부 등
- 주소지 제한:
- 서울 시민은 서울 시내에서만 사용 가능, 서울→경기 등 다른 지역에서 사용 불가
- 사용 도중 이사하고 전입신고를 마친 경우, 신용·체크카드 방식 한정으로 사용지역 변경 가능
- 미사용 금액은 환불 없이 소멸합니다
📲 국민비서 알림서비스 활용법
- 국민비서 알림서비스(네이버, 카카오톡, 토스 등)를 통해 7월 19일 전후로 대상 여부, 지급 예정금액, 신청 정보, 사용 기한 등을 미리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
- 이의가 있을 땐 국민신문고 또는 주민센터에서 이의신청 가능합니다.
🧾 요약 한눈에 보기
항목내용
신청 기간 | 1차: 7/21 ~ 9/12 (요일제 운영 첫 주) 2차: 9/22 ~ 10/31 |
신청 방법 | 온라인: 앱, 카드사, 국민비서 오프라인: 주민센터, 은행, 찾아가는 신청 |
지급 금액 | 기본 15만 원 ~ 최대 50만 원 (소득·계층별 차등) |
사용 기한 | 2025년 11월 30일까지 |
사용처 | 서울시 내 연 매출 30억 이하 소상공인 업장 |
주의사항 | 미사용 금액 소멸, 주소지→다른 지역 사용 불가 (예외적 변경 가능) |
반응형
댓글